cloud CSP는 뭐고 MSP는 뭐지? 클라우드 도입 전 꼭 알아야 할 필수 용어 | IT 단어장

cloud CSP는 뭐고 MSP는 뭐지? 클라우드 도입 전 꼭 알아야 할 필수 용어 | IT 단어장

본문

d11c0b7559da584d0354595697e85d7c_1692231031_5396.png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데이터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인공지능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금,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하는 데 있어 클라우드가 사용성과 편리성을 높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클라우드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도 많아지고 있는데요. 문제는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니 CSP, MSP, 마이그레이션 등 뜻을 알기 어려운 용어들이 너무 많다는 거죠.

 

클라우드 도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어려운 용어들로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 지금부터 클라우드 관련 용어들을 아주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도입 시 꼭 고려해야 하는 CSP

d11c0b7559da584d0354595697e85d7c_1692231136_465.png

클라우드를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CSP인데요. CSP는 Clou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 SK브로드밴드, KT 등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를 선택하듯이 클라우드를 이용할 때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선택해야 하죠.


이때, 기업 상황에 맞춰 퍼블릭 클라우드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CSP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과 장점이 다른데요. 이를 파악해 기업 시스템 상황에 가장 적절한 CSP를 선택해야 지출 효율성과 클라우드 활용 수준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가트너가 선정한 CSP 3대 업체 특징은?

 d11c0b7559da584d0354595697e85d7c_1692231172_2188.png 

CSP에는 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에서 국내의 네이버 클라우드, NHN 클라우드까지 다양한 업체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트너 선정 3대 CSP인 AWS, Azure, GCP를 살펴보겠습니다.


AWS

아마존의 AWS은 클라우드 시장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됐으며, 현재 가장 많은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AWS는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을 선점하고 개척해왔는데요. 오랜 기간동안 쌓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IaaS에서는 높은 수준의 자동화, 보안 및 확장성을 갖춘 클라우드를 제공하며,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서버리스, 거버넌스 통합 관리 기능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영역에서도 안정적인 스토리지 정책과 오픈소스에 기반을 둔 다양한 분석도구를 제공합니다.


Azure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윈도우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에 MS의 Azure는 상대적으로 쉬운 UI와 플랫폼 서비스에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된 기업이라면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학습이 어렵지 않으며, 클라우드 전환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경우 MS의 GUI에 익숙한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며, IoT 서비스는 실제 사용자 눈높이에서 문서화가 잘 되어 있어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GCP(Google Cloud Platform)

GCP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회사의 시스템을 가동하려는 스타트업이나 오픈소스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 연구와 혁신을 하려는 기업에게 적합합니다. 특히 구글은 AI, 빅데이터 등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고 있기에 클라우드 환경에서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기업이 많이 찾고 있죠.


이에 별도의 ML 연결 파이프 라인 없이 쉽게 ML 작업이 가능하도록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IoT 서비스에서는 다양한 브라우저에 대한 호환성이 좋으며, 사용자 친화적인 대시보드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도입부터 관리까지! 클라우드 운영을 도와주는 MSP

 d11c0b7559da584d0354595697e85d7c_1692231225_9209.png 

MSP는 클라우드 도입 시 CSP만큼 많이 접하게 되는 용어인데요. MSP란 Manage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뜻합니다. 


CSP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면, MSP는 CSP와 고객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라우드 구축과 전환, 운영을 설계하고 운영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죠. 음식으로 예를 들면 CSP는 클라우드 인프라라는 신선하고 좋은 재료를 제공하는 역할입니다. MSP는 이러한 재료를 가공할 수 있게 레시피와 노하우를 제공하는 역할이고요.




MSP가 하는 역할은?

 d11c0b7559da584d0354595697e85d7c_1692231250_5246.png 

그럼 이러한 MSP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볼까요?


마이그레이션

사전적 정의로 이주라는 뜻을 가진 마이그레이션은 말 그대로 이사를 뜻합니다. 기존 인프라에서 클라우드로 이동하는 것을 말하죠. MSP는 무엇을 어디에 들이고 어떻게 연결할지, 무엇을 옮기고 또 옮기지 않을 것인지 등 설계해 마이그레이션을 돕습니다.


컨설팅

이러한 마이그레이션을 하려면 도입 전 검토 단계가 필요하겠죠? MSP는 컨설팅을 통해 고객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아키텍처를 논의하고 보안을 점검합니다.


운영 관리

MSP는 마이그레이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 관리도 합니다.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발생했을 시 대응하고 어떻게 운영했는지 보고서를 발행하죠. 얼마나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관리하는지가 핵심입니다.




클라우드 도입 시 Cloud Z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d11c0b7559da584d0354595697e85d7c_1692231298_3227.png 

CSP 선택부터 클라우드 도입, 그리고 운영까지! 클라우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나 IT 기술에 대한 이해나 역량, 전문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조직 내에 클라우드를 이해하고 클라우드를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한 현실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MSP를 이용해 컨설팅을 받고 CSP를 선택하고 클라우드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Cloud Z는 여러분이 클라우드 전환으로 향하는 길을 함께 합니다. Cloud Z는 1,500개 이상의 CSP (Cloud Solution Provider) 기술자격을 보유한 클라우드 전문가 그룹(CCoE)이 함께 하며, 국내 최초 CSP Top 2인 AWS와 MS Azure의 MSP (Managed Service Provider) 인증을 모두 획득했습니다.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쌓은 노하우들을 통해 도입부터 운영까지 전 과정을 함께 하니, 클라우드 도입을 고민 중이라면 언제든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클라우드 세상으로 연결, Cloud Z

- 국내외 최고 Cloud 전문가 그룹 보유

- 고객 맞춤형 Cloud 도입-구축-전환 서비스 제공


7a7fa54493a0754c7a12339b602f9988_1684971872_3763.png7a7fa54493a0754c7a12339b602f9988_1684971874_0964.png 
705e87c2e0db6a80ac66575a11229c93_1673247210_9027.png
#클라우드 #클라우드전환 #마이그레이션 #CPS #MSP #클라우드용어 #CSP특징 #AWS #Azure #GCP #MSP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