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inZ-Mainnet 로고 ChainZ 메인넷 FAQ

ChainZ 메인넷 FAQ

입증된 고성능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기반 메인넷

chainz_mainnet_key
ChainZ 메인넷은 가스비가 없는건가요?
네, ChainZ 메인넷은 Private 메인넷이기 때문에 가스비가 없지만 Private Network이기 때문에 원하시는 대로 설정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ChainZ에 배포된 것을 이더리움에 배포할 때 수정이 필요한가요?
네, 대부분의 경우는 코드 수정이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만, 이더리움에 배포 시에는 가스비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PoA(Proof of Authority)는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 하시나요?
IBFT 2.0 (Istanbul Byzantine Fault Tolerance)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발환경이 이더리움과 동일하다고 하셨는데요, 설정 네트워크만 이더리움이 아닌 ChainZ로 설정하면 되는건가요?
네, 개발 단계에서는 Remix 등 동일한 개발툴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시고, 배포되는 테스트넷, 메인넷만 다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Utility서비스를 사용하면 RestAPI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SK(주) C&C는 가상 자산 지갑 사업자인가요? 혹은, 그러한 계획 있는지요?
당사는 가상 자산 사업자가 아니며, 현재로서는 그런 계획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ChainZ 메인넷은 어떤 블록체인 기반이며, 어떤 장점이 있나요?
ChainZ 메인넷은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기반으로 Hyperledger Besu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더리움 기업 연합(EEA, Enterprise Ethereum Alliance) 표준을
준수하기 때문에 엔터프라이즈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퍼블릭 이더리움과도 호환되어 이더리움의 넓은 개발자 풀과 개발 환경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Hyperledger Besu" 기반을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ChainZ 메인넷은 기존 Besu와 차이점이 있나요?
기존 Besu보다 운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트랜잭션 풀에 대한 관리 로직 개선 및 신규 API 추가 등이 적용되어 있으며, 성능 및 안정성 측면의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Private 블록체인 환경에서 노드 확장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확장하나요?
PoA(Proof of Authority, 권한증명)방식의 IBFT 2.0(Istanbul Byzantine Fault Tolerance, 이스탄불 비잔틴 장애 허용 메커니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3n+1개(n은 잘못된 노드 수)의 노드 형태로 확장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최소 4개의 노드가 제공되고 합의 노드에 대한 확장이 필요할 경우에는 7개(n=2), 10개(n=3) 형태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ChainZ 메인넷은 Smart Contract를 개발할 때, 어떤 특징이 있나요?
Smart Contract 개발시 Solidity 언어를 사용하며 v0.8.4까지 지원하고 있으며, Transaction 처리 시 가스비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ChainZ 메인넷 성능은 어떻게 되나요?
TTA V&V 시험에서 코인거래 4,480TPS(Transaction Per Second, 초당 거래량)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토큰거래 1,850TPS 이상의 성능 결과를
기록했으며 이는 게임·유통 업계 및 공공·금융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